1. 워드프레스 파일 받기
2013-08-21 오후 6-00-24
http://ko.wordpress.org/
에서 워드프레스를 다운 받습니다.
다운받은 파일의 압축을 풀어 놓습니다.
 
2. FTP로 파일 올리기
2013-08-21 오후 6-02-46
저는 FileZilla를 쓰는데요.
https://filezilla-project.org/
에서 다운 받습니다.
FileZilla를 실행하고 site manager 버튼을 클릭합니다.
 
3. 로그인
2013-08-21 오후 6-03-57
호스트에는 도메인(혹은 임시도메인) 예: 아이디.cafe24.com
사용자에는 cafe24 아이디
비밀번호에는 호스팅 신청시 세팅했던 비밀번호
(cafe24 웹사이트 로그인 비밀번호가 아님)
를 입력합니다.
4. 업로드 준비
2013-08-21 오후 6-15-43
FileZilla에 왼쪽창(로컬사이트 곧 내컴퓨터)에서는
다운받은 워드프레스 파일을 찾아놓고,
오른쪽창(리모트사이트 곧 서버)에서는 index.html 파일을 삭제하거나
이름을 변경해 둡니다.
 
5. wordpress 폴더 째로 업로드
2013-08-21 오후 6-20-15
왼쪽창의 wordpress를 오른쪽 클릭하고
업로드를 클릭합니다.
(서버의 www폴더 하위에 wordpress 폴더가 생성되면서 업로드 됩니다)
 
6. 오른쪽창에서 wordprss 폴더를
임의의 이름(영문)으로 변경합니다.
저는 주로 wp로 지정하지면 알기 어렵고 긴 단어가 보안에는 유리합니다.
여기서는 일단 wp로 하겠습니다.
(여기서 잠깐.
아예 루트에 설치하는 방법이 있는데요.
즉 위에서 왼쪽 창의 wordpress 폴더를 잡고 올리는게 아니라
그 안의 파일들을 올리는 건데요.. 이것의 차이는 나중 기회에..)
 
7. wp-config-sample.php 파일 오픈
2013-08-21 오후 6-28-14
내컴퓨터에 받아 둔 wordpress 폴더의
wp-config-sample.php
파일을 편집기에서 엽니다. 없으면 메모장으로 오픈.
저는 드림위버cc 정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.
8.wp-config-sample.php 파일 편집
2013-08-21 오후 6-30-51
database_name_here 는 cafe24 아이디
username_here 도 cafe24 아이디
password_here 는 설정시 입력한 비밀번호 (cafe24 웹사이트 로그인 비밀번호가 아님)
이렇게 수정하고 저장시
wp-config.php
로 이름을 바꿔줍니다.
(이부분은 호스팅 업체에 따라 틀립니다)
 
9. wp-config.php 파일 업로드
2013-08-21 오후 6-35-30
서버의 워드프레스 폴더(여기서는 wp 폴더)에 업로드 하기위해 오른쪽 창에서 폴더를 클릭합니다.
wp-config.php파일을 오른쪽 클릭하고 업로드합니다.
이때 서버의 wp-config-sample.php는 삭제하는 것이 좋습니다.
 
10. 브라우저에서 설치
크롬이나 파이어폭스에서 (익스플로러는 비추)
주소창에
당신의 도메인/워드프레스폴더/wp-admin/install.php
를 입력합니다.
여기서는 임시도메인이라면
아이디.cafe24.com/wp/wp-admin/install.php
와 같이 되겠습니다.
몇가지 정보를 입력하면 설치가 끝납니다.
브라우저에서
도메인/wp
를 입력하면 기본테마가 적용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 
이때 wp가 없이 주소창에 도메인 만으로 사이트 접속을 하고 싶으면

[링크 참조] 혹은 루트에 설치하면 되지만 보안에 안좋다기에 비추입니다.